코딩 신생아가 새싹을 틔워서 꽃이 될때까지

https://www.youtube.com/user/easyspub

 

 

easyspub

'사람을 구체적으로 도와주는 책'을 만드는 이지스퍼블리싱 출판사입니다. 도서 내용과 관련된 문의는 Do it! 스터디 룸 (https://cafe.naver.com/doitstudyroom) 또는 영상 상세 설명에 있는 저자님의 이메

www.youtube.com

글꼴 관련 CSS규약은 www.w3.org/TR/css-fonts-3 에서 있다

 

font-family 속성 : 글꼴 지정하기

👉기본형 : font-family:<글꼴 이름>[,<글꼴 이름>, <글꼴 이름>]

👉 문서에서 사용할 글꼴은 <body>태그를 비롯해 <p> 태그나 <hn>태그처럼 텍스트를 사용하는 요소들에서 주로 사용한다

👉윈도우7 이상의 사용자라면 " 맑은 고딕"글꼴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작자가 처음 의도한 모습으로 텍스트가 표시되지만,

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시스템인 경우, 브라우저 기본 값이 나타나 각각 다른 글꼴로 표시된다.

문서에서 글꼴을 지정할 때는 가지 글꼴만 지정하기도 하지만 지정한 글꼴이 없을 경우에 대비해 번째, 번째 글꼴까지 지정해야 한다.

이상의 글꼴 이름을 지정할 때는 글꼴 이름과 이름 사이의 쉼표(,) 구분한다

👉font-family 속성은 상속되기 때문에 <body>태그 스타일에서 일단 한번 정의하면 문서 전체에 적용되고 문서 안의 모든 자식 요소에 계속 같은 글꼴이 사용된다.

글꼴이 아닌 다른 글꼴을 사용하고 싶다면 태그 스타일이나 클래스 스타일을 이용해 해당 요소에서 다른 글꼴을 정의 하면 된다.

 

@font-tace 속성 : 폰트 사용하기

👉 폰트란 문서를 작성할 문서 안에 글꼴 정보도 함께 저장했다가 사용자가 문서에 접속하면 글꼴을 사용자 시스템으로 다운로드 시키는 방식이다

👉사용자 시스템에 없는 글꼴이더라도 문서를 통해 필요한 글꼴들을 사용자 컴퓨터에 다운로드한 표시하기 때문에 제작자가 의도한 대로 텍스트를 표시할 있다.

 

👉구글 폰트 사용하기

  1. https://fonts.google.com/ 접속
  2. 사용하고 싶은 스타일 오른쪽의 [Select this style] 클릭
  3. 폰트에 대한 정보를 확인후 [Embed] 클릭
  4. [@import] 클릭후 @import 시작하는 소스를 복사
  5. 복사한 소스를 문서의 <style> 태그에 붙여 넣기

 

👉구글 폰트 사용하기

  1. https://fonts.google.com/ 접속
  2. 한글 폰트 검색
  3. Link 항목에 있는 소스 복사 & 글꼴 이름 기억
  4. 문서의 <style>태그 안에 붙여 넣음
  5. font-family 속성에서 폰트 글꼴 이름 사용

 

 

👉직접 폰트 업로드해 사용하기

사이트에서 제공하지 않는 폰트이거나 자신이 가지고 있는 ttf폰트를 변환해서 사용한다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글꼴은 트루타입 유형이고 파일확장자는 *.ttf이다.

웹에서 사용할 있는 폰트는 woff(*.woff) 트루타입(*.ttf, *.otf), 임베디드 오픈타입(*.eot), svg폰트(*.svg, *.svgz)이다.

Transfonter에서 한글 폰트까지 변환할 있다.

글꼴 저작권에 주의해야한다.

 

👉직접 폰트 업로드해 사용하기

  1. 폰트 파일 준비
  • eot 파일, woff 파일
  • 기존 ttf 파일을 변환해서 사용할 수도 있음
  1. 다운로드 하기 전에 사용자 시스템에 있는지 확인
  • local(글꼴이름)
  1. IE8이하 버전을 위해 eot 파일 먼저 선언
  2. woff 파일 선언
  3. 용량이 ttf 파일을 마지막에 선언

 

 

폰트 적용하기

👉기본형

@font-face {

font-family : 글꼴 이름;

src:url(글꼴 파일 경로) format(파일 유형);

}

 

 

font-size 속성 : 글자 크기 조절하기

👉기본형 : font-size: <절대 크기> | <상대 크기> | <크기> | <백분율>

 

👉font-size속성에서 사용하는 속성

 

👉<크기>값을 직접 지정할 사용하는 단위

 

👉px단위 사용하기

px단위를 사용하면 폰트 크기가 고정된다.

작은 모바일 기기로 볼때도 같은 크기로 화면에 표시된다.

크기를 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텍스트 문단의 크기는 16px 표시된다

 

👉em단위 사용하기

사용하는 글꼴의 대문자 M 기준으로 한다.

대문자 M 너비를 1cm으로 놓고 상대적 값을 계산해 다른 요소들의 글자 크기를 조절한다

 

font-weight 속성 : 글자 굵기 지정하기

👉기본형

font-weight : normal / bold / bolder / lighter / 100 / 200 / 300 / 400 / 500 / 600 / 700 / 800 / 900

 

font-variant 속성 :  작은 대문자로 표시하기

👉기본형 : font-variant : normal | small-caps

👉대문자를 소문자 크기에 맞추어 작게 표시한다.

 

font-style 속성 : 글자 스타일 지정하기

👉기본형 :font-style: normal | italic | oblique

👉글자를 이탤릭체로 표시한다.

 

font 속성 : 글꼴 속성을 꺼번에 묶어 표현하기

👉기본형

font: <font-style><font-variant><font-wight><fodnt-size/line-height><font-family>

 | caption | icon | menu | message-box | small-caption | status-bar

 

속성들을 한꺼번에 묶어 약식으로 표현할 있다

 

👉line-height 간격을 조절하는 속성인데 font 속성은 아니지만 글자 크기와 줄간격이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font-size/line-height처럼 하나의 속성처럼 사용하기도 한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