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신생아가 새싹을 틔워서 꽃이 될때까지

https://www.youtube.com/user/easyspub

 

 

easyspub

'사람을 구체적으로 도와주는 책'을 만드는 이지스퍼블리싱 출판사입니다. 도서 내용과 관련된 문의는 Do it! 스터디 룸 (https://cafe.naver.com/doitstudyroom) 또는 영상 상세 설명에 있는 저자님의 이메

www.youtube.com

스타일 : 웹에서의 스타일은 미리 약속한 스타일 속성을 입력해 웹을 디자인하는것

스타일 시트: 문서에서 반복해 쓰이는 스타일들을 모아 놓은것

 

스타일을 사용할까?

👉스타일이란 HTML문서에서 자주 사용하는 글꼴이나 색상, 정렬, 요소들의 배치 방법 문서의 겉모습을 결정짓는 내용들

 

👉 문서의 내용과 상관없이 디자인만 바꿀 있습니다.

HTML로는 사이트의 내용을 나열하고 CSS로는 문서의 디자인을 구성한다는 아이디어가 표준의 시작

내용과 디자인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사이트의 내용을 수정해야 때도 디자인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고 내용만 수정할 있다

http://www.csszengarden.com/ 사이트는 같은 내용의 HTML 서로 다른 CSS 꾸미는 사이트

 

👉다양한 기기에 맞게 탄력적으로 바뀌는 문서를 만들 있습니다.

CSS 이용하면 HTML 작성된 내용은 그대로 두고 대상 기기에 맞게 CSS 바꾸어 주면 같은 내용을 여러 기기에 어울리게 있다

 

스타일 형식

👉선택자(selector) : 스타일 규칙에서 앞에 나와 있는 부분 앞의 예시에서 'p'부분

텍스트 단락에 중괄호({,})사이의 스타일을 적용하겠다는 의미

'속성:속성 ' 같은 형식으로 표시하며 속성과 속성 다음에는 세미콜(;)으로 구분한다.

 

스타일을 표기하는 방법

개발자가 읽기 쉽고 유지,보수가 쉬우려면 여러 줄에 걸쳐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스타일 주석

👉/* */사이에 내용을 입력한다

주석을 줄만 입력하거나 여러 줄을 입력할 수도 있다

 

스타일과 스타일 시트

👉내부 스타일 시트

문서 안에서 사용할 스타일을 문서 안에 정리한 것을 '내부 스타일 시트'라고 한다

모든 스타일 정보는 <head>태그와 </head>태그 안에서 정의해야 하고 <style>태그와 </style>태그 사이에 작성한다

 

👉외부 스타일 시트

여러 문서에서 사용할 스타일을 별도 파일로 저장해 놓고 필요할 때마다 파일에서 가져와 사용하는

따로 저장해 놓은 스타일 정보를 '외부 스타일 시트'라고 하고 '.css'라는 파일 확장자를 사용한다

👉외부 스타일 시트를 연결할 때는 <style>태그 없이 <link>태그만 사용해 미리 만들어 놓은 외부 스타일 시트 파일을 연결한다

기본형 : <link rel="stylesheet" href="외부 스타일 파일 경로">

 

👉인라인 스타일

스타일 시트를 사용하지 않고 스타일을 적용할 대상에 직접 표시한다

스타일을 적용하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해당 태그에 style속성을 사용해 style="속성: 속성 "형태로 스타일을 바꿀 있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