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신생아가 새싹을 틔워서 꽃이 될때까지

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4

 

WEB1 - HTML & Internet - 생활코딩

--- 우리는 지금부터 코딩 웹 인터넷 컴퓨터라는 거대한 주제에 대한 탐험을 시작할 거예요. 이 여행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한가지 준비가 필요한데요. 바로 우리들의 상상력입니다. 지금부터 여

opentutorials.org

루비 함수에 있는 문법적 특성중 생략하는게 있다.

사용할지 판단은 나의 몫이지만 알아두어야한다. 남이 쓸수도있으니꽌…

 

 

 

 

기본적인 함수 정의하는 방법

def f1()

    return 'f1'

end

puts(f1())

👉 루비에서는 함수의 괄호()를 생략할수있다.

def f2  

    return 'f2'

end

puts(f2())

👉괄호를 생략했다는것은

def f3

    return 'f3'

end

puts(f3)

👉함수를 사용할때도 생략할수있다.

 

입력값이 있는 함수라면

def f4(a1)

    return a1

end

puts(f4('f4')) #f4를 실행할때 입력값으로 f4를 준다면

f4를 실행할때 함수 f4가 호출되고 f4의 값은 a1이므로 f4입력값이 나온다.

def f5 a1

    return a1

end

puts(f5('f5'))

👉 함수를 정의할때 매개변수(입력값)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괄호를 생략할수있지만

한칸을 띄어쓰기 해주어야한다.

def f6 a1

    return a1

end

puts(f6 'f6')

👉결과에서도 괄호를 작성하지않아도된다.

def f7 a1

    return a1

end

puts f7 'f7'

이렇게도 괄호를 생략할수있다. 헷갈릴뿐......

def f8 

    return 'f8'

end

puts f8

이렇게 하면 함수가 실행되어 리턴값 f8이 출력된다.

def f9 

    'f9'

end

puts f9

f9를 실핼하면 함수f9가 실행되고 ,

리턴을 쓰지 않고 값만 입력해도 리턴이라는 키워드가 있는것처럼 동작해서

f9함수의 리턴값이 문자열 f9가 된다.

def f10

    a = 1

    b = 1

    a + b 

end

puts f10

# 결과는 3이 출력된다.

 f10을 실행하여 함수가 실행되고, a = 1 , b = 1이 실행되고

 a + b 의값 3이 실행되며, end로 함수가 끝나는데

마지막으로 등장한 a + b 인 3이 리턴값으로 간주되어 3이 출력된다.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