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opentutorials.org/course/3084
WEB1 - HTML & Internet - 생활코딩
--- 우리는 지금부터 코딩 웹 인터넷 컴퓨터라는 거대한 주제에 대한 탐험을 시작할 거예요. 이 여행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한가지 준비가 필요한데요. 바로 우리들의 상상력입니다. 지금부터 여
opentutorials.org
파이썬
✔ 2
print(2)
print(1+1)
print(len('aa'))
형태는 다르지만 모두 2를 나타내는 식들임 : 표현식(Expression)
✔ aaa
print('aaa')
print('a'*3)
def a3() :
return 'aaa' # 리턴뒤에 있는 값이 함수의 값이 된다.
print(a3())
# 리턴 뒤에 따라오는 값이 함수의 값이 되어서 함수를 불러오면 리턴 뒤의 값이 나온다.
def a4( ) :
print('before')
return 'aaa'
print ('after') #리턴값이 결과값이 되고, 'after'는 실행되지 않는다.
print (a4())
>>> before / aaa 실행됨
리턴뒤의 값을 함수의 결과값으로 만든다.
리턴이 등장하면 리턴값이 함수의 종료가 된다.
✔aaa
def a3():
print('aaa')
a3()
a3라는 함수 안에서 프린트를 하고 있다.
함수 안에서 aaa라는 데이터를 어떻게 사용할지 함수 본문 안에 표현되어있어서
데이터를 사용하는 용도가 늘어나면, 그때마다 용도에 따른 함수를 만들어야된다.
def a3_email():
print(email('aaa'))
a3_email()
>>>>>>>>>>>>>>>>>>>>>>>>>>>>>>>>>>>>>>>>>>>>>>>>>>>>>>>>>>>비교하기<<<<<<<<<<
def a3() :
return 'aaa'
print(a3())
a3라는 함수안에서 aaa를 리턴해줄뿐이고, 실제로 출력은 함수바깥쪽 print에서 한다.
a3이라는 것이 데이터를 반환하고 있기때문에 더 많은 곳에서 재사용이 가능하다.
email(a3())
루비
def a3()
return 'aaa'
end
puts(a3())